오늘은 도메인과 IP주소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보통 저희가 인터넷 홈페이지를 접속할 때 예를 들어서 네이버라고 친다면

www.naver.com 이라고 들어가잖아요? 사실 이건 사람들이 편하게 보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걸 도메인(Domain)이라고 부릅니다.


원래는 컴퓨터가 알아듣기 쉬운 IPv4와 IPv6을 따릅니다. 이것이 IP주소 입니다.

사람은 숫자보다는 문자에 강합니다. 하지만 컴퓨터는 사람과 다르게 논리적이기 때문에 숫자에 강합니다. 애당초 컴퓨터가 알아듣기 쉬운건 이진법이니까요.


사진을 확대해서 보시면 더 자세히 나옵니다.


위 사진은 CMD 사진입니다. 제가 ping 도메인명을 입력 후 얻은 IP주소 입니다. 





사진을 확대해서 보시면 더 자세히 나옵니다.


사진을 확대해서 보시면 더 자세히 나옵니다.


사진을 확대해서 보시면 더 자세히 나옵니다.


제가 ping을 보내서 받은 IP주소를 이용하여 네이버, 구글, 다음을 들어가봤습니다.


네이버는 입력 그대로 주소명이 변하지 않고 IP주소로 잘 들어가졌습니다.

구글은 주소명이 도메인명으로 변경되었고 이상 없이 잘 들어가졌습니다.

다음은 아예 페이지 오류가 났습니다. 


다음 같은 경우는 보안상의 이유로 IP주소로 못 들어가게 접근을 차단한 것 같습니다.



여기서 제가 설명해드릴 부분은

원래 인터넷은 IP주소로 되어 있는데 사람들은 그렇게 해서는 다 못 찾아가니까 도메인명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IP주소를 Domain명으로 바꿔주는 것이 DNS(Domain Name System)입니다.


예전에 우리나라에서도 DNS가 고장나서 한동안 인터넷 사이트들을 못 들어간 적이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때 IP주소를 아는 사람들은 IP주소를 통해서 이상 없이 잘 들어갔다고 합니다. 하지만 모르는 사람들은 홈페이지는 잘 정상작동이 되는데 이러한 개념을 모르니까 큰 문제가 생긴 줄 알았던거죠! DNS의 고장인데도 말이죠.


IP도 종류가 있는데요.

고정IP와 유동IP가 있다고 합니다.


고정IP는 공인된 곳에서 쓰이는 거구요. 유동IP는 저희 일반인들이 쓰는 컴퓨터에 쓰입니다. 


왜 우리같은 사람은 유동IP쓰고 왜 공인된 기관만 고정IP를 쓰느냐? 하면요.


IPv4는 주소 개수가 4,294,967,296 대략 이정도로 43억개 정도 됩니다. 

하지만 이것이 지금은 거의 모든 컴퓨터에게 할당되었습니다.


만약 일반인들이 고정IP를 쓴다면 컴퓨터를 껏을 때 그 IP는 낭비되는 것이잖아요? 그래서 유동IP를 주어서 컴퓨터를 껏을 때는 다른 사용중인 컴퓨터에 그 IP를 할당해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해주는 것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즉,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입니다.

DHCP는 IP를 할당하고 회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런 것들은 ISP업체에서 해주는 것이죠.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는 KT Olleh, SK 브로드밴드, LG U+ 같은 곳을 일컫습니다.

반면 저희가 찾아가야 하는 기관들이 고정IP를 받아야 하는 이유는 그런 기관들이 유동IP를 할당 받는다면 저희는 주소가 때때로 변하니 찾아갈 수가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반인들은 유동IP 기관은 고정IP를 할당 받습니다. 


또 사설기관이라 하더라도 유동 사설과 고정 사설이 있다고 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Cyberworld

Everything is connected, connection is power.

,